학회소개

학회장 인사말

존경하는 국제환경법•정책학회 회원님 여러분!

제1기 김홍균 전임 회장님에 이어 제2기 학회의 운영 책임을 맡은 중앙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박원석 교수입니다. 2021년 김홍균 초대 회장님을 위시하여 박병도, 소병천 교수님 등 여러 뜻있는 교수님들의 오랜 숙원이자 소망으로 설립된 우리 학회는 이제 국제법 분야의 하나의 중요한 축이자 학술적 포럼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습니다. 재앙의 정도와 세기 그리고 빈도 등에서 날이 가고 해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는 국제환경 문제를 효율적으로 그리고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전 세계 모든 국가들의 노력 덕분에 우리 국제환경법•정책학회의 역할과 책임도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사실 지난 3년은 국제환경 보호를 위한 대전환의 시기라고 할 수 있었습니다. 2022년 12월 쿤밍-몬트리올 글로벌생물다양성프레임워크, 2025년 2월 생물유전자원의 디지털서열정보(DSI)에 대한 이익공유를 위한 ‘칼리기금(Cali Fund)’ 설립, 2023년 6월엔 공해생물다양성협약이라고 할 수 있는 ‘BBNJ협약’, 2024년 ‘생물유전자원등에 대한 WIPO협정’, 2025년 5월 세계보건기구(WHO) 제78차 총회에서 ‘WHO 팬데믹협정’이 채택될 예정으로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UN 식량농업기구(FAO)에서도 식량농업식물유전자원(PGRFA)에 대해 ‘의무적’ 이익공유로서 법적 성격을 변경하기 위한 협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특히 환경뿐만 아니라 인간의 건강 보호와 깊은 관련이 있는 바젤협약, 스톡홀름협약, 로테르담협약 등에서도 우리가 결코 간과할 수 없는 많은 변화들이 우리들의 무관심 또는 부지불식간에 우리들의 시야 밖에서 발전 또는 전개되고 있습니다.

우리 국제환경법•정책학회는 탄생한 지 만으로 5년도 지나지 않은 신생 학회로서 인적 자원도 부족하여 이 모든 국제환경조약을 동시에 그리고 한꺼번에 관여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역으로 생각하면 회원 수가 적다 보니 국제적으로나 국내적으로 중요한 국제환경조약에 관여할 수 있는 기회도 많다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습니다. 즉, 학회 회원님들이 그동안 쌓아 온 학문적 전문성을 국제무대에서 실무적으로 활용하고 증진하기 위한 폭 넓은 기회가 도처에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마지막으로 지난 5년 동안 학회 행사 개최와 학회지 출간 등 학회의 험한 업무를 도맡아 책임지고 운영하여 주신 박시원 교수님과 강원대학교 팀, 그리고 윤익준 박사님께 심심한 감사의 인사들 드립니다. 그동안 우리 국제환경법정책학회와 공동개최를 통해 학회를 물심양면으로 도와주신 KOSTI와 국립생물자원관 등 여러 국책기관들에도 감사의 인사를 드리며 지속적인 후원과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산•관•학•연이 다 같이 Mutually supportive한 관계가 지속되고 발전하기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신임 국제환경법•정책학회장 배상

사단법인 국제환경법정책학회

대표자명 : 박원석 주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 222, 제3법학관 605호(사근동 한양대학교)
이메일 : ielpa2179@gmail.com

Copyrights © 2022 사단법인 국제환경법정책학회. All rights reserved